악몽을 자주 꾸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조기 사망 위험이 3배가량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24일(현지 시각)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데일리메일 등에 따르면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뇌과학 연구진과 아비데미 오타이쿠 영국 치매 연구소 박사 연구팀은 지난 23일 유럽 신경학 아카데미(EAN) 총회에서 발표한 연구를 통해 “악몽은 흡연과 비만, 질 낮은 식단, 신체 활동 부족보다 조기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더 강력한 인자”라고 밝혔다.연구진은 8~10세 어린이 2429명과 26~86세 성인 18만3012명을 대상으로 악몽 빈도를 확인해 조기 사망 간 연관성을 분석했다. 참가자는 연구 초기에 악몽을 얼마나 자주 꾸는지를 보고했고 이후 19년에 걸쳐 추적 조사를 받았다.분석 결과 주 1회 이상 악몽을 꾸는 성인은 그렇지 않은 성인에 비해 70세 이전에 사망할 위험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단위를 넘어 월 단위로 악몽을 꾸는 경우에도 조기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상승했다. 연구를 이끈 오타이쿠 박사는 “연령, 성별, 인종, 정신 건강 상태와 무관하게 악몽과 조기 사망 간에는 일관된 연관성이 있었다”고 말했다.악몽을 자주 꾸는 사람은 몸에서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이 장기간에 걸쳐 분비될 수 있는데, 이 호르몬이 노화를 가속시키는 원인이라고 연구진은 지적했다.코르티솔 분비가 장기화하면 고혈압, 근육 손상, 만성 피로, 불면증 등으로 이어져 신체 전반의 노화가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악몽은 만성 스트레스와 수면 장애를 복합적으로 일으킨다. 악몽을 꾸는 사람은 땀을 흘리고 숨을 헐떡이며 심장이 뛰는 상태로 잠에서 깨는데, 이런 반응이 반복되면 만성 스트레스 상태에 놓이게 되고 결국 생존률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연구진은 봤다.연구진은 자기관리를 통해 악몽을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오타이쿠 박사는 “악몽은 생각보다 흔한 현상이지만 결코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라며 자기관리를 통해 악몽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평소 스트레스와 불안을 관리하고 공포 영화 시청을 자제하며, 수면 환경을 쾌적하게 관리하는 등으로도 악몽을 덜 꾸게 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불안, 우울증 등에 대한 치료를 받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악몽을 너무 자주 꾼다면 수면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하다고 연구진은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