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대진첨단소재, 가천대에 배터리용 CNT 연구개발을 위한 연구소 분원 개소
- 배터리용 CNT 고분산 슬러리 개발 착수…미국 등 해외 시장 대응 전략 마련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대진첨단소재가 가천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신영준 교수·채오병 교수 연구팀과 함께 차세대 배터리 소재 기술 개발을 위한 전략적 산학협력에 나섰다. 이의 일환으로 기업부설연구소 분원을 공식 개소하고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독자 기술 인프라 구축에 착수했다고 18일 밝혔다.
유성준 대표는 “이번 공동연구소 개소는 대진첨단소재가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한 독자 기술 인프라 구축의 출발점”이라며, “글로벌 파우더·슬러리 시장을 선점하고, 세계 배터리 소재 시장의 허브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단순한 연구 개발을 넘어 장기적으로 독점적 시장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라고 강조했다.
이번 개소를 통해 대진첨단소재는 가천대학교에 CNT(탄소나노튜브) 고분산 슬러리 개발을 위한 분산장비를 구축하고, 배터리용 CNT 연구개발을 위한 실질적인 산학연 협력을 본격 추진한다. 특히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즉각 대응 가능한 독자 기술 기반을 마련해 미래 성장의 발판으로 삼겠다는 계획이다.
CNT는 기존 카본블랙 대비 전기적·열적·기계적 특성이 우수해 배터리 도전재 소재의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으나, 응집력이 강해 균질한 분산 기술이 핵심이다. 이번 연구소 개소는 이러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배터리용 CNT 소재 산업 고도화와 기술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중대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개소식에는 대진첨단소재 연구소 관계자와 가천대학교 교수진, 학내 실무자들이 참석해 현판식과 함께 연구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분원 개소는 단순한 일회성 이벤트를 넘어, 대학-기업 공동 R&D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공동 연구에 참여하는 신영준 교수는 전 LG에너지솔루션 CTO 출신으로, 리튬-황 전지 및 전고체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주도해 온 ‘배터리 산업의 거장’이다. 채오병 교수 역시 배터리 공학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인물로 이번 프로젝트에 합류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난 결백하고 깨끗"...권성동, 압수수색 현장서 한 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섭외 논란' 장수군, 태연·김태연에 고개 숙였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밤사이 시간당 80mm '집중 폭우' 또 쏟아진다…"주의 당부"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열심히 달린 회사채 시장…여름 휴가철 쉬어간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특허 등록도 안 됐는데 계약 체결?...인투셀·에이비엘바이오의 민낯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